목록Web Basic/CS (4)
Will find a way

들어가기 전나는 2개의 국비지원 과정을 이수하였다. 첫 번째는 웹퍼블리셔 프론트엔드 과정 두 번째가 풀스택 과정이다.그래서 이게 지금 말할 웹 접근성이랑 무슨 상관이 있을까? 직접적인 관련은 없지만 내가 이 글을 쓰게 된 이유이기 때문에 언급해봤다. 국비교육을 이수하면서 개발을 배우고 싶은 사람으로서는 풀스택 과정이 훨씬 좋았지만 웹접근성을 놓고 봤을 때는 첫번째 국비 과정에서 더 많이 언급을 했고 알려주려고 했어서 기억이 남는다. 2번째 과정을 들으면서 웹접근성에 대해서 내 기억이 조금 흐려지기도 했어서 다시 상기 시키고 싶었다. 단순한 정보글이 아닌 내가 왜 이 글을 포스팅했으며 목적까지도 적고 싶기 때문이다. 내가 만들고 싶은 웹이나 앱은 모든 사람들이 동일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 ..

목차1. 비트(bit)란?2. 2진수3. 16진수 1. 비트(bit)란?비트는 컴퓨터에서 데이터를 표현하는 가장 작은 단위다. "비트"라는 용어는 "binary digit(2진 숫자)"의 줄임말로, 0 또는 1의 두 가지 값중 하나를 나타낸다. 비트는 주로 8개를 묶어서 사용되며, 이를 바이트(byte)라고 한다. 바이트는 컴퓨터에서 가장 기본적인 데이터 단위 중 하나이며, 문자나 숫자와 같은 정보를 표현하는 데에 사용된다. 2. 2진수 (Binary)- 2진수는 0과 1 두 개의 숫자만을 사용하여 숫자를 표현한다.- 각 자리는 2의 제곱으로 증가한다. 가장 오른쪽 자리부터 2^0, 2^1, 2^2, ... 2^n 순으로 진행된다. ex) 3. 16진수 (Hexadecimal)- 16진수는 0부터 9까..
목차 1. 인터넷이란 2. 웹서비스의 발전 3. 웹 어플리케이션 아키텍쳐 MPA (Multi Page Application) SPA (Single Page Application) CSR (Client Side Rendering) SSR (Server Side Rendering) 1. 인터넷이란? 인터넷은 1960년대 군사적인 목적을 가지고 개발이 됐다. 핵전쟁 이후 핵에도 마비되지 않을 통신이 필요하게 되서 해저 광케이블로 설치가 됐으며, 전세계 인터넷의 해외 연결망 트래픽의 약 90% 이상은 해저 케이블 사용한다. 우리가 사용하는 인터넷 웹사이트는 1980년 팀 버너스 리가 개발한 월드 와이드 웹이다. 웹 서버와 웹 브라우저를 개발하고 통신의 규칙과 화면을 구성할 수 있는 프로그래밍 언어를 개발로 월드..
목차 1. 웹의 역사 2. 웹, 네트워크, 인터넷 정의 3. 프로세스와 프로그램의 차이? 4. 컴퓨터에 대해서 5. 호스트(Host)란? 6. OS (운영체제) 7. 하드웨어 / 소프트웨어 8. 브라우저 9. 응용 소프트웨어 / 시스템 소프트웨어 1. 웹의 역사 1980년도 팀버너스리에 의해 만들어진 효율적으로 정보를 교환하는 시스템을 고안하다 만들어졌다. 2. 웹, 네트워크, 인터넷 정의 비전공자 입장에서는 웹, 네트워크, 인터넷 이라는 단어의 차이가 없지만 위 단어는 각각 다른 것들이다. 그 의미를 알아보자. 웹 : 인터넷 기반으로 한 정보공유 시스템 인터넷 : 네트워크가 글로벌 단위로 정보를 공유하는 시스템 네트워크 : 컴퓨터 두 대 이상이 서로 데이터를 통신하는 시스템 3. 프로그램과 프로세스 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