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ll find a way

웹에 대한 기본 지식 본문

Web Basic/CS

웹에 대한 기본 지식

Jaka_Park 2024. 4. 8. 17:26

목차

 

1. 인터넷이란

2. 웹서비스의 발전

3. 웹 어플리케이션 아키텍쳐

       MPA (Multi Page Application)

       SPA (Single Page Application)

       CSR (Client Side Rendering)

       SSR (Server Side Rendering)

 

 

1. 인터넷이란?

인터넷은 1960년대 군사적인 목적을 가지고 개발이 됐다. 핵전쟁 이후 핵에도 마비되지 않을 통신이 필요하게 되서 해저 광케이블로 설치가 됐으며, 전세계 인터넷의 해외 연결망 트래픽의 약 90% 이상은 해저 케이블 사용한다. 

우리가 사용하는 인터넷 웹사이트는 1980년 팀 버너스 리가 개발한 월드 와이드 웹이다.

웹 서버와 웹 브라우저를 개발하고 통신의 규칙과 화면을 구성할 수 있는 프로그래밍 언어를 개발로 월드 와이드 웹은 널리 퍼지게 됐다.

 

2. 웹 서비스의 발전

1세대 웹

정적인 웹사이트로 정적인 화면만 보여주고 페이지의 인터랙션 요소가 많지 않은 단순한  정보만을 제공했다.

 

2세대 웹

웹은 넷스케이프사에서 개발한 javascript를 사용해서 동적인 웹사이트를 제작했다. 다른 페이지로 넘어가지 않아도 페이지의 내용을 동적으로 바꿔줄 수 있게 됐다. 2세대 웹까지는 프론트엔드와 백엔드의 구분이 없었다.

 

3세대 웹

javascript  위주로 코드가 많이 작성되기 시작했다. Single Page Application 단일 페이지 어플리케이션 (SAP) 가 등장 페이지의 전환 없이 사용자가 앱을 사용하는 느낌을 받는 UX 향상의 효과를 주었다.

 

3. 웹 어플리케이션 아키텍쳐

MPA (Multi Page Application)

여러개의 페이지로 구성된 어플리케이션을 의미

정적 웹사이트가 있고 페이지의 링크로 이동하여 보여주는 형태

 

SPA (Single Page Application)

페이지가 한개로 구성되어 있어서 링크로 이동하는게 아닌

자바스크립트를 통해 내용을 변경 페이지로 이동한 것처럼 보여주는 형태.

사용자가 앱을 사용한 것 같은 느낌을 준다.

 

CSR (Client Side Rendering)

SPA를 브라우저에 그려주는 작업중 최초 1번 전체 페이지를 로딩 렌더링을 해주는 방식 웹 페이지의 렌더링이 브라우저에서 동작한다. 전체 페이지를 로딩하기 떄문에 최초 진입시 느리게 페이지가 보인다.

 

SSR (Server Side Rendering)

SPA를 브라우저에서 그려주는 작업중 서버에서 페이지를 완성시켜서 브라우저에게 제공하는 형태